본문 바로가기
치과위생사 국가고시/지역사회구강보건학

[지역사회구강보건학 학습목표 요점정리] Part 1. 공중구강보건학

by 동글 빈 2023. 7. 24.

학습목표

▶ 공중구강보건학의 개념

1. 구강보건학을 정의할 수 있다.

2. 공중구강보건학을 정의할 수 있다.

3. 공중구강보건학의 범위를 구분할 수 있다.

4. 공중구강보건학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.

5. 지역사회구강보건과 개별구강진료를 비교할 수 있다.

6. 공중구강보건학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
7. 공중구강보건사업의 요건을 나열할 수 있다.

8. 포괄구강보건진료를 설명할 수 있다.

 

건강의 개념

1. 건강을 정의할 수 있다.

2, 건강개념의 변천을 설명할 수 있다.

3. 구강건강을 정의할 수 있다.

4. 구강건강개념의 모형을 설명할 수 있다.

5. 구강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.

 

공중구강보건의 발전

1. 치학을 분류할 수 있다.

2. 공중구강보건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
3. 우리나라 구강보건정책 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.

 

 구강병관리

1. 중대 구강병을 정의할 수 있다.

2. 구강병 발생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.

3. 구강병 관리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.

4. 구강병 관리의 원칙을 제시할 수 있다.

5. 구강병 진행에 따른 관리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
6. 개인의 구강건강관리과정을 설명할 수 있다.

7. 집단의 구강건강관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
8. 계속구강건강관리 제도를 정의할 수 있다.

9. 계속구강건강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
10. 예방지향 포괄구강진료의 준칙을 설명할 수 있다.


요점정리

공중구강보건학을 정의할 수 있다.

: 일정한 지리적 영역에서 공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들의 조직적 공동 노력으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는 실용과학

 

지역사회구강보건과 개별구강진료를 비교할 수 있다.

구분 지역사회 구강보건 개별 구강진료
목적 지역사회 구강건강의 증진 내원환자의 구강병 치료와 의치보철
대상 지역사회 주민 전체 내원환자 개인
연구내용 지역사회 주민의 생태와 구강보건 개인 구강병의 원인과 진행과정 및 요양방법
활동과정 지역사회 주민의 구강보건의식 개발과정 개인 구강병 진단과 요양과정
활동주체 지역사회 주민과 개발조직 및 구강보건팀 내원환자와 치과의사
활동결과 지역사회 구강건강의 증진 내원환자 구강건강의 증진

 

공중구강보건사업의 요건을 나열할 수 있다.

  • 효과가 있어야 한다
  • 안전해야 한다
  • 쉽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
  • 경비가 저렴하여야 한다
  • 재료나 도구, 장비가 적게 사용되어야 한다
  • 비전문가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
  • 경제적, 사회적, 교육적, 직업적 수준과 무관하게 혜탁을 주어야 한다
  • 다수 사람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
  • 수혜자가 쉽게 배워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
  • 수혜자가 전폭적으로 수용하여야 한다

구강건강을 정의할 수 있다.

: 구강건강은 상병에 이환되어 있지 않고 허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신작용과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치아와 악안면 구강조직 기관의 상태

 

공중구강보건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
전통구강보건기 -~조선 후기
-민간요법, 한방요접으로 구강병 관리
구강보건여명기 -조선후기~해방
-1910년 치의사 면허 관장하는 경무총감부에 위생과 설치
-1922년 경성 치과의학교 설치
구강보건태동기 -해방직후~1950년대 말
-1945년 보건후생국 내 치무과가 설치되며, 구강보건행정 시작
-1948년 조선치과위생연구소 설치
구강보건발생기 -1960년대
-1961년 대한구강보건학회 창립
-1962년 전문가 불소도포사업 실시
-1965년 최초의 치과위생사 교육 시작
구강보건성장기 -1970년대~현재
-1976년 학교 집단 칫솔질 후 불소용액양치사업 실시
-1977년 전문대 치위생과 개설
-1981년 진해에 전문 최초로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시작
-1986년 전국 보건(지)소에 치위생사 배치

 

구강병 발생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.

숙주요인 -치아의 형태, 성분, 위치, 배열
-타액의 유출량, 점조도, 완충능
-호르몬, 임신, 식성, 종족 특성, 감수성
-식균작용, 살균성 물질 생산력, 비특이성 보호작용 병소의 위치
병원체요인 -병원성, 세균, 전염성, 전염방법, 독력, 독소생산능역, 침입력
환경요인 -지리, 기온, 기습, 토양 성질, 공기
-음료수 불소이온농도, 구강환경
-직업, 경제조건, 주거, 인구 이동, 문화제도, 식품의 종류와 영양가

 

구강병 진행에 따른 관리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
병원성기 질환기 회복기
전구병원성기 조기병원성기 조기질환기 진전질환기
1차 예방 2차 예방 3차 예방
건강증진 특수방호 초기 발견 치료 기능 감퇴 제한 상실기능 재활
-구강보건교육
-영양관리
-칫솔질
-구강환경관리, 수돗물 불소농도 조절
-불소도포
-식이조절
-치면열구전색
-예방 충전
-치면세마
-부정교합 예방
-초기우식병소 충전
-치은염 치료
-부정교합 차단
-주기적 검진
-진행우식병소 충전
-치수복조
-치근단 치료
-치아 발거
-치주병 치료
-부정교합 교정노
-가공의치보철
-국소의치보철
-전부의치보철
-악안면성형
-임플란트

구강병 관리과정

- 개인 구강건강관리 과정 : 진찰 → 진단 → 치료계획 → 진료비 영수 → 치료 → 평가 (6개월)

- 집단 구강건강관리 과정 : 실태조사 → 실태분석 → 사업계획 → 재정조치 → 사업수행 → 사업평가 (12개월)

    1) 실태조사 : 집단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단계

    2) 실태분석 : 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

    3) 사업계획 : 사업에 소요되는 경비나 지역사회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계획을 세우는 단계

    4) 재정조치 : 국가나 지자체에서 필요한 재력을 취득, 관리, 사용

    5) 사업수행 : 사업을 계획에 맞게 효과적으로 수행

    6) 사업평가 : 평가원칙에 따라 평가, 다음 사업계획에 환류

반응형